연합수련회를 마치고 점심을 먹은 후 우리 일행은 강화도로 향하였다. 강화도는 20여년전 아이들과 1박 2일로 다녀온적이 있다. 당시엔 석모도까지 배를 타고 가면서 갈매기들에게 새우깡을 던져주며 가던 생각이 난다. 예나 지금이나 입장료내는곳은 잘 가지 않는 아내였는데 당시 석모도에 있는 보문사도 입장료를 받을거라며 아내는 가질 않고 차에 있었다 그런데 알고보니 그날이 사월초파일이어서 입장료를 받지 않았는데.... 어쨌든 그런 추억이 어린 강화도를 20년 만에 다시 찾아간다.
박정남장로님은 사학과를 전공하여 우리 LCC가 외지로 나갈때는 지역에 얽힌 이야기를 많이 들려준다.
이날도 손수 운전을 하였기에 난 도로를 촬영할 수 있었고 강화도에 얽힌 숱한 이야기들을 아주 흥미롭게 해주어서 유용한 영행이 되었다.
인천시내를 벋어나 강화도를 가르키는 이정표가 보인다.
우린 강화도 남단 강화초지대교를 통해 강화도로 진입 하기로 하였다.
강화초지대교이다 난간이 높아 물을 제대로 담지못해 아쉬웠다.
첫번째 여행지 초지진에 있는 포탄흔적이다.
역사적인 사건과 아픔을 같이한 포탄자욱. 그냥보기엔 모르겠지만~~~
초지진은 해상으로부터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위해 세워진 진지이다.
멀리 강화초지대교가 보인다.
가슴아픈 역사의 현장을 묵묵히 지키고 있는 포구모습.
말로만 듣던 시옷자 갈메기들의 행진을 운좋게 잡았다.
작은 진지이지만 강화도 남단을 지키는 요충지이다.
성벽과 함께 이 소나무에도 포탄의 흔적이 남아있다.
전등사 올라가는 길의 밤 파는 아줌마.
전등사 입구에 있는 삼랑성이다.
전등사입구의 모습이다.
역사적인 전등사 입구에서 기념촬영.
전등사는 현존하는 사찰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졌다한다. 서기 381년 창건되었고(현재 건물은 1621년 중건) 강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전등사 네 모서리에는 벌거벗은 여인상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절을 지은 목수를 배신한 여인상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