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해외)/5. 연변, 백두산

6. 용정 대성중학교(윤동주)

윤동주는 만주 북간도명동촌()에서 태어났으며, 기독교인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 본관은 파평()이며, 아버지는 윤영석(), 어머니는 김룡()이다. 1931년(14세)에 명동()소학교를 졸업하고, 한 때 중국인 관립학교인 대랍자() 학교를 다니다 가족이 용정으로 이사하자 용정에 있는 은진()중학교에 입학하였다(1933).

1935년에 평양의
숭실()중학교로 전학하였으나, 학교에 신사참배 문제가 발생하여 폐쇄당하고 말았다. 다시 용정에 있는 광명()학원의 중학부로 편입하여 거기서 졸업하였다. 1941년에는 서울의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에 있는 릿쿄[]대학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1942), 다시 도시샤대학[] 영문과로 옮겼다(1942). 학업 도중 귀향하려던 시점에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1943. 7), 2년형을 선고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그러나 복역중 건강이 악화되어 1945년 2월에 생을 마치고 말았다. 유해는 그의 고향인 연길 용정()에 묻혔다. 한편, 그의 죽음에 관해서는 옥중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를 정기적으로 맞은 결과이며, 이는 일제의 생체실험의 일환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타계하고 말았으나, 그의 생은 인생과 조국의 아픔에 고뇌하는 심오한 시인이었다. 그의 동생 윤일주()와 당숙인 윤영춘()도 시인이었다. 그의 시집은 본인이 직접 발간하지 못하고, 그의 사후 동료나 후배들에 의해 간행되었다. 그의 초간 시집은 하숙집 친구로 함께 지냈던 정병욱()이 자필본을 보관하고 있다가 발간하였고, 초간 시집에는 그의 친구 시인인 유령()이 추모시를 선사하였다.

윤동주는 15세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는데, 처녀작은 <삶과 죽음> <초한대>이다. 발표된 작품으로는 만주의 연길()에서 발간된 《가톨릭 소년()》지에 실린 동시 <병아리>(1936. 11), <빗자루>(1936. 12), <오줌싸개 지도>(1937. 1), <무얼 먹구사나>(1937. 3), <거짓부리>(1937. 10) 등이 있다. 연희전문학교에 다닐 때에는 《조선일보》에 발표한 산문 <달을 쏘다>, 교지 《문우()》지에 게재된 <자화상>, <새로운 길>이 있다. 그리고 그의 유작()인 <쉽게 쓰여진 시>가 사후에 《경향신문》에 게재되기도 하였다(1946).

그의 절정기에 쓰여진 작품들이 1941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발간하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의 자필 유작 3부와 다른 작품들을 모아 친구 정병욱과 동생 윤일주에 의해 사후에 그의 뜻대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제목으로 정음사()에서 출간되었다(1948).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그의 대표작으로 그의 인간됨과 사상을 반영하는 해맑은 시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짧은 생애에 쓰인 시는 어린 청소년기의 시와 성년이 된 후의 후기 시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청소년기에 쓴 시는 암울한 분위기를 담고 있으면서 대체로 유년기적 평화를 지향하는 현실 분위기의 시가 많다. <겨울> <버선본> <조개껍질> <햇빛 바람> 등이 이에 속한다. 후기인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쓴 시는 성인으로서 자아성찰의 철학적 감각이 강하고, 한편
일제 강점기의 민족의 암울한 역사성을 담은 깊이 있는 시가 대종을 이룬다. <서시> <자화상> <또 다른 고향> <별 헤는 밤> <쉽게 쓰여진 시> 등이 대표적인 그의 후기 작품이다. 특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그의 대표시로서, 어두운 시대에 깊은 우수 속에서도 티없이 순수한 인생을 살아가려는 그의 내면 세계를 표현한 것이다. 그의 시비가 연세대학교 교정에 세워졌다(1968). 

 

 

용정시는 연변 자치구역중 조선족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곳으로 인구 61%가 조선족이란다. 그 유명했던 대성중학교 교정 앞엔 윤동주 시비가 세워져 있다.

 

 

구관은 자료실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 건물 앞쪽에 지어진 신관에서는 지금도 학생들의 수업이 진행된다고 한다.

 

 

 

 

 

 

2층 복도이다. 한켠에 전시실이 있다.

 

 

 

 

전시관을 안내한 조선족 가이드

 

 

 

 

 

 

이곳은 대성중학교만이 아닌 용정시내 중학교에 얽힌 자료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북한과 가까운 조선족이 운영하기 때문인지 북한측 사람과 좌익계통의 인물만 소개되고 있었다. 문익환목사는 소개가 되었지만 정일권씨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

 

 

이곳 학교를 후원하는 사람들을 소개한곳 역시 우리 한국측 사람들은 배제 되었다.

 

 

 

 

윤동주는 항일운동가 였기에 이곳에서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듯 하였다.

 

 

 

 

구 대성중학교 건너편의 학사.

 

 

 

 

대성중학교 2층 창문.

 

 

윤동주 시비의 뒷면이다.

 

 

눈보라로 인하여 천지를 구경 못했기에 이곳에서 천지 기분을 내자고 하였다.

 

 

천지 앞에서 단체사진을 찍고

 

 

개인별로도 찍어 보았다. 마음만.....

 

 

 

 

 

 

 

 

1층엔 선물점이 있었는데 4계절을 담은 천지사진이 아름답게 걸려있었다.